데이터 분석

KPI (1) - 그게 누군데?

셈뇽 2024. 4. 19. 12:05
KPI?
그게 누군데?

 

경영은 교양 수업으로도 들어보지 않은 공대생이라  'KPI'라는 단어는 정말 태어나서 처음 들어보는 단어이다. 

처음 들었을 때,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지 감이 전혀 오지 않았다. 

데이터, 즉, 수치로 어떤 성과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서 KPI는 중요해 보인다.

그럼 이제 KPI가 도대체 뭐 하는 사람(?)인지 알아보자.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 성과 지표. 개인 또는 조직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기준. 즉, 목표 달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므로 중요하게 관리해야 하는 요소

 

KPI 설정 시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현재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미래의 방향 제시하고, 주관적인 요인이 아닌 객관적인 요소로 조직 구성원을 이해시키는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 

KPI는 조직의 규모나 성격에 관계없이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려는 모든 조직에서 활용 가능한 개념이다. 개인에서부터 국가까지 다양한 범주의 사람들이 목표설정을 위해 KPI를 이용할 수 있다.

 

KPI..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 거지?
  1. "성공"이라는 추상적 개념에 대한 구체화 
    • 대개 "성공"의 여부를 결정할 때, 주관적인 기준을 세우기 마련이다. 하지만, 주관적인 기준으로 성공을 결정한다면, 다른 사람을 납득시키기 힘들 뿐만 아니라, 잘못된 방향으로 미래를 계획할 수도 있다. 따라서 KPI를 통해 "성공"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하자. 
  2. 우선순위 파악 가능
    • 목표가 구체화되면, 목표에 따른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다.
  3. 근거가 있는 방향성 조정 가능
    • 간단한 예시를 들어보자. 만약, 1달 동안 5킬로 감량하기라는 목표를 세웠을 때, KPI는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근육량 등이 될 수 있다. 2주가 지나고 나서 KPI를 확인했을 때, 몸무게는 감소했지만, 체지방량이 늘고 근육량이 감소했다면, 방향성이 잘못되었다는 판단을 내리고, 근육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4. 객관적이고 투명한 기준
    • 최근 데이터분석 분야가 활성화되면서, 인사데이터를 다루는 분을 만나게 되었다. 자사 직원의 성과 관리를 수치로 한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으나, 성과관리뿐만 아니라 만족도 등을 위해 인사 데이터를 전담해 분석하는 직무가 있다는 사실을 새로 알게 되었다. 이러한 직무를 수행할 때 객관적이고 투명한 기준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5. 반복되는 패턴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일처리 가능
    • 같은 KPI를 장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측정하다 보면 흐름과 패턴이 보인다. 이전 흐름에 빗대어 현재 단계에서 발생할 일을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하며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다면, KPI는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
다음 글에선 KPI를 정의하는 모범 사례 중 하나인 
SMART 기준에 대해 알아보자.

'데이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험실. 01] 아주 간단한 A/B test  (0) 2024.07.08
Pandas와 Numpy 비교하기  (0) 2024.06.13
판다스와 넘파이 비교하기  (0) 2024.06.13
DB Schema  (0) 2024.04.23
KPI (2) - 어떻게 하는건데?  (0) 2024.04.19